카테고리 없음

낮이 길어지는 이유

에이스도나 2025. 6. 1. 19:32
반응형

🌞 알고는 있는데 설명하려니 어렵더라고요~

여름이 되면 "왜 이렇게 해가 늦게 질까?" 하고 한 번쯤은 궁금해보신 적 있으시죠?
저도 낮이 길어지는 이유는 "지구가 기울어져 있어서 그래"하면서도

막상 누군가에게 설명하려니까 말이 꼬이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해봤습니다!

 

🌍 낮이 길어지는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하면서, 동시에 1년에 한 바퀴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어요.
그런데 중요한 건 지구의 자전축이 수직이 아니라 약 23.5도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 자전축의 기울기 때문에, 지구는 계절에 따라 태양빛을 받는 각도와 시간이 달라집니다.
특히 여름에는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하루 동안 태양빛을 더 오랫동안 받게 되죠.

 

☀️ 여름에는 태양이 하늘에서 더 높고 오래 머문다

  • 6월부터 8월까지는 북반구가 태양을 향해 기울어진 시기입니다.
  • 그래서 태양이 지평선 위로 더 높게 떠오르고,
  • 뜨는 시간은 빨라지고, 지는 시간은 늦어집니다.

결국, 하루 중 태양이 떠 있는 시간이 길어져서 낮이 길어지는 것이죠.

 

📅 하지(夏至) – 낮이 가장 긴 날

여름이 절정을 이루는 6월 21일 전후는 '하지'라고 불립니다.
이 날은 태양이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서울 기준으로 낮의 길이가 무려 14시간 45분 정도나 됩니다!
반면, 겨울에는 해가 일찍 지면서 낮이 확 짧아지죠.

 

😊 하지날 일출 05: 11, 일몰 19:57(서울기준)

 

🔁 다시 요약하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어요!

 

구분 설명
지구의 자전축 약 23.5도 기울어져 있음
여름철의 특징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짐
태양의 변화 더 높게, 더 오래 떠 있음
결과 해가 일찍 뜨고 늦게 짐 → 낮이 길어짐
 

 

📝 마치며

낮이 길어지는 현상은 그냥 날씨 때문이 아니라,

지구의 움직임이라는 큰 자연 법칙 덕분에 생기는 일이에요.
이렇게 정리해두면 다음에 누군가 물어보더라도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때문이야!

여름에는 북반구가 태양쪽으로 기울어서 태양이 떠 있는 시간이 길어져” 하고

자신 있게 설명할 수 있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