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교 학점제(2025년 시행)
1. 정의
고등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인정받아
졸업 요건을 충족하는 제도입니다.
2. 시행 시기
2025년부터 전국 모든 일반계 고등학교에 전면 시행되었습니다.
일부 학교에서는 2022~2024년 동안 시범 운영을 거쳤습니다.
3. 특징
필수 과목(공통 과목)은 정해져 있지만, 이후 다양한 선택과목을 수강할 수 있음.
대학처럼 **이수 단위(학점)**를 쌓아서 졸업 조건을 충족.
학생은 자신의 진로에 맞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음 (예: 기초 과학, 경제, 프로그래밍 등).
4. 장점
자기 주도적 학습 가능
진로 탐색과 연계한 과목 선택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가능 (온·오프라인 연계 포함)
5. 학점 인정 방식
1단위 = 50분 수업 × 17회 이상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192학점(약 3년 기준)
<과목구성>
1. 공통과목
- 고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배우는 과목들로, 모든 학생이 이수해야 함
대부분 8학점으로 구성되며, 한국사는 6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 공통과목을 이수한 후, 학생의 수준과 흥미에 따라 선택
일반적으로 4학점이면, 일부 과목은 학점 조정 가능함.

3. 진로선택과목
학생의 진로에 맞춘 심화 및 실용과목
학점은 과목에 따라 다름.

4. 전문교과
직업계고(특성화고)나 마이스터고 등에서 개설되는 과목
일반계 고교에서도 일부 개설 가능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구매목적, 구매시점 파악하여 금을 잘 사려면? (0) | 2025.05.15 |
|---|---|
| 청와대 관람할 때 주차는 어디에~ (0) | 2025.05.14 |
| 고교 학점제 해결방향은? (1) | 2025.05.11 |
| 왜 고교 학점제인가 (1) | 2025.05.10 |
| 성급한 탈시설화, 누구를 위한 선택인가? (0) | 2025.05.10 |